블로그센터

평범했던 그 친구는 어떻게 성공했을까 본문

1분 안에 책 읽기

평범했던 그 친구는 어떻게 성공했을까

수다공작소 2010. 3. 3. 00:12

 

성공하는 사람은 처음부터 뚜렷한 목표를 세우지 않았다. 

 

p20 "더 놀라운 것은 최고의 자리에 오른 사람들 대다수가 특정한 목표에 지나치게 집착하면 할 수록 오히려 실패할 확률이 높아진다고 믿는다는 사실이다."

 

p22 "파커와 켈러허, 두 사람 모두 구체적이고 확실한 목표를 세우는 것은 장기적인 성공에 오히려 장애가 된다고 생각했다."

 

p28 "성공을 추구하다 좌절하고 낙담한 사람들 대부분은 지나친 자신감이나 자만심, 자기 연민 그리고 지나치게 구체적인 성공 계획이 뜻대로 되지 않는 데서 오는 충격으로 자기 혐오에 빠진다."

 

p30 "하나의 목표에 지나치게 집착하면 그 이외의 생활이나 인간관계에 소홀해져 결국은 자기 파괴적인 결과를 낳게 된다."

 

p33 "최고의 자리에 오른 사람들은 지독히 현실적이다."

 

'전문가급' 제너럴리스트가 되라 

 

p35 "다양한 문화를 접한 사람은 세상을 보는 눈이 넓어지고 적극적이며 외향적인 성격을 갖게 된다."

 

p39 "최고의 성공을 거둔 사람들은 자신의 재능을 찾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다양하고 흥미로운 취미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덕분에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가에 가까운 실력을 쌓고 있다."

 

p45 "전문가 즉 '스페셜리스트' 도 명예와 부를 얻을 수 있지만 최고의 자리에 오르는 성공을 거두려면 다방면에 걸쳐 지식을 갖춘 '제너럴리스트' 가 되어야 한다."

 

p58 "성공을 거둔 사람들은 자기 일을 열심히 해서 인정받으려고 하지, 절대로 남의 일을 가로채 윗사람에게 잘 보이려고 하지 않는다."

 

p59 "누군가 문을 열어 주었을 때, 그 문 안에 있는 것이 자신이 준비해 오던 것이어서 자신있게 문 안으로 들어가 그 상황을 이용할 수 있는 것 그것이 바로 행운이다."

 

자기PR의 덫 ; 자기PR은 되도록이면 안 하는 게 좋다. 

 

p72 "혼자 튀려고 애를 쓰면 쓸수록 주위 사람들은 그의 실수를 은근히 바라게 된다. 유명세를 불꽃과 같아서 아름답게 반짝이지만 손에 쥐기 힘들고, 자칫하면 여러분을 모두 태워버릴 수도 있다."

 

p73 "남에게 공을 돌리면 첫째, 겸손한 모습을 보일 수 있고 둘째, 칭찬 받는 상대에게 환심을 살 수 있기 때문에 결국에는 이득을 얻게 된다."

 

p75 "나는 제대로 된 자기 PR을 'M 뒤집기' 라고 부른다. 나를 뜻하는 Me의 M을 뒤집으면 우리를 뜻하는 'We' 가 된다. 이처럼 나 아닌 우리를 먼저 알리는 자랑은 얼마든지 해도 괜찮다."

 

인맥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 

 

p77 "첫째, 연줄은 일단 기회의 문까지는 데려다준다. 둘째, 연줄은 여러분을  기회의 문 안에 계속 머무르도록 도와주지는 않는다."

 

p80 "그보다는 융통성 있는 목표를 세우고, 자신과 비슷한 목표를 이룬 사람들을 만날 기회를 찾아 나섰다. 그러면 진실한 열정을 감지한 상대는 자신처럼 열정적인 친구를 돕기 위해 기꺼이 먼저 손을 내민다."

 

위기대처능력 

 

p90 "성공한 사람들은 방향 전환을 해야 할 때를 직감적으로 알아차린다."

 

p91 "전환해야 할 결정적인 타이밍을 놓쳐 한동안 실직 상태에 머물거나 직장에서 곤란한 처지에 놓이는 것이다. 그런 때는 아무 곳에도 속하지 않아 외토리가 된 기분이 들어 견디기가 쉽지 않다."

 

p95 "실수를 인정하지 않는 것이 바로 실수다. 실수를 했다는 자체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실수를 저지른 다음에 어떻게 행동하느냐 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 무엇보다도 자신의 실수를 다른 사람이 보고하도록 방치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존 샘스, 전 미 제 5공군 사령관

 

 

즐길 수 있는 일을 해라 

 

p97 "정말로 좋아하는 일을 하지 않으면 자기 안에 있는 잠재력을 100% 발휘할 수 없다."

 

p99 "중요한 것은 자신이 하는 일에 꾸준히 관심을 갖고 지적 자극을 받는 것이다."

 

p100 "돈을 버는 것보다 세상을 바꿔놓고 싶었다고 진지하게 말하는 그는 자신의 직업에 담긴 '봉사 정신' 을 정말 좋아한다고 덧붙였다."

 

감정표현방법

 

p123 "모순되게 들릴 수도 있지만 감정을 배제한 채 적절하고 잘 통제된 방법으로 분노를 표현하는 방법이 있다."

 

p128 "막무가내로 흥분하고 고함치는 대신 세련된 분노 '스타일' 을 개발하라. 그리고 분노를 터뜨리는 데 대한 한계를 정하라. 절대 마구잡이로 화를 내서는 안 된다."

 

p135 "정상에 오르면 남은 것은 내리막뿐이다. 그럴 떄는 다른 산을 올라가면 된다' 고 크리스토퍼 로이드는 말했다.

 

카리스마 

 

p150 "카리스마는 오랜 노력 끝에 자신의 재능을 발견했을 때, 특히 자신감이 부족하거나 어디로 가야 할지 몰랐던 사람이 자신의 재능을 발견했을 떄 가장 크게 성장한다. 자신에게 특별한 재주가 있다고 깨닫는 순간 수십 년간 앞으로 달려나갈 수 있는 어마어마한 힘이 솟구친다."

 

p152 "회의를 주관할 줄 알고 자신감 있는 태도와 설득력 있는 어조와 유머 감각으로 자연스럽게 의견을 발표할 수 있어야 한다. 아이디어를 얼마나 조리 있게 표현하느냐는 아이디어 자체만큼이나 중요하다."

 

도덕성 

 

p162 "여러분이 부도덕하다고 비난하는 사람들의 95%는 오히려 여러분을 부도덕하다고 생각한다."

 

p172 "똑똑한 야심가는 남의 입에서 자신의 성공담이 나오도록 만들고, 그 이야기가 끝나면 오히려 겸손하게 대수롭지 않은 일이라고 자신을 낮춘다."

 

출처 평범했던 그 친구는 어떻게 성공했을까 토마스 A.슈웨이크

 

더 많은 분들이 이 글을 보실 수 있게 추천해주세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