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자폐증 (2)
블로그센터
우연히 일기장에서 발견해낸 자폐아에 대한 기록이다. 아직 자폐아에 대한 대중적 인식이 없던 때라서 더욱 애착이 가는 인생경험이었다. 몇몇의 얼굴은 지금도 생경한데 다른 몇몇은 쥐도 새도 모르게 머리속에서 사라졌다. 자폐증의 원인 태아기 산모가 자신의 뱃속의 아이를 (어떠한 상황으로 인해) 원하지 않는다면, 그 태아가 자폐증에 걸릴 확률은 85% 정도이다. 관찰대상 번동종합사회복지관 장애아 교실 아이들 이가영 시선을 타인에게 맞추지 않는다. 자신이 가진 물건과 남이 가진 물건이 같음에도 남의 것을 탐낸다. 행동은 둔하며 어느 정도 시키는 일을 하는 편이다. 이은혜 말이 많고 목소리가 크다. 손을 입가에 대는 버릇이 있고 침을 약간씩 흘린다. 신체 발달이 빠른 편이고 사춘기적 특징이 보인다. 강영미 쉽게 삐..
자폐를 극복한 수영선수 김진호 MBC 스페셜 '진호야 힘을 내!'로 2005년‘일요일 일요일밤에 - 진호야 사랑해’이후 3년 만에 우리 곁으로 다가온 수영선수 김진호씨. 방송이 끝난 이후 순식간에 관심의 사각지대로 밀려나 그 동안 그의 소식을 접할 수 없었지만 유해진 PD를 통해 다시금 그를 조명한다. 2000년 자폐아동 보조교사로 봉사활동했을 때 처음으로 자폐아를 알게 되었다. 다들 어떻게 지낼까? 이 분을 보면서 그 아이들을 많이 떠올렸었다. 아! 이왕 오는 바람이라면 피하지 말고 넉근히 쐬자. 서번트 신드롬 / 이상천재(Savant) 이들의 능력은 정말 상상을 초월한다. 우리가 살면서 사용하는 뇌는 뇌 전체의 5% 밖에 안된다는 데...... 이런 걸 보면 새삼 잠재능력이라는 게 얼마나 대단한 것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