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아프가니스탄 (5)
블로그센터
'폭탄 테러, 라마단 금식, 이스마엘의 후손...' 이 정도가 내가 아는 이슬람의 전부였다. 굳이 더 깊이 알고 싶은 마음도 없었다. 그러나 이 책을 편집하면서, 기독교의 빛나는 역사를 갖고 있던 유럽이 이슬람 국가로 변해가는 전철을 한국도 밟고 있구나 하는 무서운 생각이 들었다. 우리들의 무관심 속에서 이슬람은 계속 확장되고 있었던 것이다. - "우리곁에 다가온, 이슬람(유해석 지음)" 편집자의 글 중에서 ‘이슬람교=폭력종교’라는 그릇된 인상 세계인구의 5분의 1(역 13억 명)이 무슬림(이슬람교도)이다. 하지만 다른 종교에 비해 테러단체가 많다는 이유로 늘 폭력과 잔인함의 대명사로 알려졌다. 이렇게 명명된 이슬람의 '폭력성'은 지극히 서구주의적 시각에서 비롯됐다. 서구인들이 이슬람을 폭력의 종교라고 ..
이렇게 긴 소설(556pages)의 줄거리를 쓰는 일은 정말 쉽지 않다. 간견하게 핵심만 뽑아 쓰자면 놓치는 게 많고, 놓칠만한 것들을 빼곡히 쓰자면 한도 끝도 없어 새로운 창작을 해야 할 것만 같다. The Kite Runner 줄거리 이 소설은 라힘 칸의 전화를 받은 아미르가 과거를 회상(1인칭 주인공 시점)하게 되면서 과거로 거슬러올라가게 된다. 아미르에게는 그보다 한 살 어린 하산이란 하인이 있다. 하산은 알리의 아들로 그 역시 바바의 하인이었다. 그들은 충직했고, 신의를 지켰으며 그래서 그 누구보다 그들의 주인을 잘 섬겨왔다. 아미르의 어머니는 그가 태어날 당시 과다 출혈로 목숨을 잃었고, 하산의 어머니는 그가 태어난지 5일만에 가출했다. 그리하여 둘은 같은 보모 밑에서 자랐고 둘도 없는 친구로..
꽤 두껍지만(574pages) 제목에 끌려 선택했다. 여러 가지 수식어가 책 표지를 장식했지만 책은 모름지기 읽어봐야 제 맛을 알듯 막상 손에 붙들린 책은 쉽게 떨어져나가지 않았다. 할레드 호세이니의 다른 소설인 '연을 쫓는 아이'도 책장에 꽂혀 있는 걸 보았는데 다음 번에는 그 책도 꼭 빌려와야겠다. 9.11테러(?)사건(그것이 정말 테러리스트들에 의해 자행된 사건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이후 중동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아프가니스탄 전쟁. 전후 모든 게 제자리를 찾아 숨가뿌게 움직이고 있을 무렵 터진 탈레반의 한국단기의료선교팀의 억류. 이것만으로도 아프가니스탄은 충분히 의미 있는 나라이고, 화두의 쟁점이 되었다. 오죽했으면 2007년 여름, 일본 동경에서도 그 이야기를 꺼내며 친구와의 화를 ..
[연을 쫓는 아이] 제목? 연을 날려 서로 연싸움을 벌이며 누가 가장 오래 살아남느냐가 관건이 아프가니스탄의 전통놀이에 유독 소질을 보였던 아미르가 마지막 최후의 승자가 되면서 이 소설의 핵심사건이 발생한다. 그의 하인이자 친구였던 하산이 아미르의 파란 연을 꼭 되찾아오겠다고 약속했고, 그가 그 연을 끝까지 지키기 위해 아세프 일당에게 성폭행을 당하기 때문이다.(연싸움에서 최종 우승자의 연을 소유하는 것을 가치있게 여겼다. 그래서 아세프가 하산에게 거래를 제안했다. 그가 순순히 연을 주면 그냥 그는 그냥 돌아갈 수 있었다. 하지만 그의 주인인 아미르를 위해서 그는 성폭행을 당해야만 했다.) 이 장면을 아미르는 고스라히 다 보게 되었고, 이로 인해 친구를 지켜주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시달리면서 둘의 사이는 ..
9월21일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서 열린 평화의 날 행사장의 모습